실험 제목 : in vitro luciferase assay protocol
실험 재료 : Reporter Lysis 5X buffer, scraper, Luminoplate, BCA 실험 재료 ( 소요시간 : 1~2 hr )
실험 내용
Substrate인 luciferin과 반응하여 발광하는 luciferase의 특성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Luciferase 유전자를 DNA 혹은 RNA 등으로 전달한 후 발현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transfection 후 24 hr 정도가 지난 후에 제대로 된 발현량을 관찰 할 수 있다. Cellular uptake 외에도 endosomal escape, nucleus localization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최종적으로 발현량에 영향을 준다.
실험 방법
*12well plate 기준
1. Media 제거해주고 DPBS 1ml x 2회 wash.
- Lysis 할 cell이기 때문에 clean bench 밖에서 진행하여도 된다. Suction기를 사용 할 시 1회만 해도 보통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Media가 제대로 제거 되지 않을 시, 추후 전체 단백질 농도가 다르게 나올 수 있으며 DPBS도 잘 제거하여야 sample volume이 통일되서 오차가 줄어든다.
2. 1x reporter lysis buffer 120 ul씩 처리
- Promega 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증류수를 이용하여 1x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제품 링크 : https://www.promega.kr/products/luciferase-assays/reporter-assays/reporter-lysis-5x-buffer/)
3. 실온 (RT)에서 3 min incubation.
- 정확히 시간을 지킬 필요는 없지만 너무 천천히 하면 단백질이 분해되서 값이 달라질 수 있다.
4. Cell scraper 혹은 파이펫팅을 이용하여 세포를 떼어내고 새로운 1.5 ml tube로 옮겨담아준다.
5. 10,000 g, 7min, 4 ° C로 centrifuge.
- 온도를 맞춰서 단백질 분해를 최대한 줄인다. Cell lysate를 제거할 목적이므로 조금 더 느린 RPM으로도 pellet을 제거할 수 있다.
6. Pellet을 건드리지 않게 상층액만 조심히 새로운 1.5 ml tube로 옮겨담아준다.
- Fixed angle rotor로 centrifuge하면 pellet이 다음과 같이 맨 밑 부분이 아닌 대각선으로 tube에 붙게 된다. 이 때 다음과 같이 파이펫 팁을 사용하면 supernatant만 안전하게 얻어낼 수 있다.
7. Lumino-plate에 20ul씩 담아준다. (* 같은 샘플로 BCA도 측정)
- Luminoplate가 아니면 제대로 측정 되지 않는다. BCA assay도 진행하여야 추후에 normalization을 한 값을 얻을 수 있다.
8. Luminometer 혹은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
- Luminometer의 경우 현재 실험실에서는 well당 luciferin을 50ul씩 treat하게 설정되어 있고 다양한 cell line에서 문제 없이 측정되고 있다. 실험 조건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Luminometer가 없다면 멀티파이펫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넣어준다. 첫 번째 well을 blank로 설정해주면 좋다.
실험 결과
Excel template 파일
- BCA assay는 standard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Y 절편과 기울기 값을 변경해주어야 정확한 값이 나온다.
결과 예시
=> 특정 물질의 비율별 전달 효율을 알아 낼 수 있다. 위 예시에서는 1:12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그 이후는 saturation 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통계 처리는 표시하지 않았다)
'연구 > 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Q test - 사이트 이용하여 쉽게 하기 / 의미 없는 측정값 버리기 (0) | 2022.05.28 |
---|---|
Stereotaxic injection - 두개 내 주사 좌표 정하기 (Brain Atlas) (0) | 2022.05.28 |
10x TBE buffer - Recipe (0) | 2022.05.19 |
Gel retardation assay - Protocol (0) | 2022.05.19 |
노랗게 변해버린 배지! - 세포 오염(Cell Contamination) 발생 시 대처법 (0) | 202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