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웨더 15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4년 1, 2분기 수익률 (종료)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4년 1, 2분기 수익률자산 배분 현황투자 전략해외 직투 계좌: LAA + All weather 포트폴리오ISA, IRP, 연금저축펀드: S&P 5002024.05.10부로 투자 종료 (사유: 부동산 취득)  오랜만에 작성하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및 수익률 인증 글이다. 지난번 글에서 포트폴리오 수익 왜곡을 막기 위해서 년 단위로만 시드 입금을 하기로 하였었는데, 부득이한 사유로 자산 배분 운영을 중단하게 되었다. 사유는 위에 작성하였지만, 주택 구매를 위해서다. 나와 같이, 30대들은 대부분 결혼을 앞두거나 결혼 후에 안정적인 주거를 위하여 주택 매매를 고려할 것이고 이때 부족한 현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주식 투자를 접게 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실제로, 연금저축펀드의 해..

그럼에도 S&P500을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3 근로 소득

그럼에도 S&P500을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3 근로 소득 제목을 보고 의아해 할 수 있다. 당연히 근로 소득으로 자산을 불리기 위해서 아끼고 아껴서 S&P500에 투자하는데 어째서 근로 소득이 적립식 투자할 이유일까? 일반적으로 주식은 위험자산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주식에 100% 투자하는 것이 장기 수익률이 높지만, 위험성으로 인해 상관 관계가 적은 채권과 금을 섞어서 자산의 변동성을 낮추는 자산 배분을 한다. 물론, 이번 코로나 이후의 기간을 살펴보면 채권과 커플링 되서 같이 폭락하는 기간도 있고 금은 역사적으로 주식만큼이나 높은 변동성을 나타낸다. 워렌 버핏도 자신의 사후에는 S&P500에 90% 투자하고 단기 채권에 10% 투자하라고 아내에게 말한 일화는 유명하다. 주식에 모든 돈을..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3년 3분기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3년 3분기 수익률 투자 전략 해외 직투 계좌: LAA + All weather 포트폴리오 ISA, IRP, 연금저축펀드: S&P 500 개별투자: NKE, O, WPC 자산 배분 수익률을 업로드하는 텀이 항상 늦고 있다. 3분기 수익률을 올리고 있지만 벌써 단풍도 지고 한 해가 끝나가고 있다. 우선, 한 해의 수익률을 보자면 일단은 만족이다. ISA 계좌의 전략을 100% S&P500으로 바꾸는 등 전략의 변경이 있긴 했지만, LAA와 올웨더를 50%씩 투자하는 직투 계좌를 메인으로 하고, 연금저축펀드와 IRP 그리고 ISA 계좌에서 S&P 500을 최초 목표한 만큼 납입하였다. 추가로, 금리 인상으로 주가가 많이 떨어져 있는 리츠주의 비중을 늘렸다. 결과적으로, 주식을 ..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3년 2분기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3년 2분기 수익률 투자 전략 해외 직투 계좌: LAA + All weather 포트폴리오 ISA, IRP, 연금저축펀드: S&P 500 지난 글에서 적었듯이, 기존 ISA 계좌에서 매수 매도가 잦은 DAA 운용은 중단하고, S&P 500으로 전환하였다. 수익률을 떠나서 프로그래밍을 통한 자동 매수 매도를 하지 않는 이상 전략을 제대로 지키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외에도, ISA 계좌의 경우 3년마다 해지 후 연금저축 계좌로 옮길 계획이기 때문에 연저펀에서 운용 중인 전략과 마찬가지로 100% S&P 500을 투자하는 게 맞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의도한 대로 LAA +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경우 좋은 방어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경기의 후행 지표인 실업률을..

카테고리 없음 2023.09.17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3년 1분기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3년 1분기 수익률 오랜만에 쓰는 수익률 글이다. 지난 글에서 말했듯이, 수익률을 월별로 정리하는 의미가 없어 보여서 분기와 반기를 고민하다가 분기 수익률을 앞으로도 남기기로 결정하였다. 애초에 일상생활에 집중하여 나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투자에 온 신경을 쓰는 것보다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것 같다. 현재, 직투 계좌와 ISA 계좌 외에 연금저축계좌와 IRP에는 S&P 500을 투자하고 있다. (IRP의 경우 70%까지) 따라서, 의도한 것보다 주식 비율이 높다. TDF 시리즈처럼 나이를 고려할 때 살아있는 채권인 스스로를 생각하면 주식 비율이 높은 것은 납득할 수 있다. 따로 글을 적겠지만, ISA 계좌의 경우 DAA와 올웨더를 같이 운용하던 기존 전략을 포기할 계획이다...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12월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12월 수익률 2022년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수익률 인증 글이다. 이 글을 끝으로는 수익률 인증 글은 빈도를 줄여서 연말 결산 혹은 반기 결산 식으로만 글을 올리고자 한다.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전략을 잘 지켰고 경제 상황에 비해 나쁘지 않은 수익률로 견뎌서 만족한다. 물론, 환율이 다시 낮아지면서 11월과 12월을 기점으로 수익률은 마이너스가 되었다. 하지만, 20~30% 이상 떨어진 S&P 500, 나스닥, RPAR 등과 비교하면, 진입 타이밍 탓이 크지만 만족할 수 있는 결과로 생각하고 있다. 공부할 시간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지만, 꾸준하게 투자를 이어나가겠다. 하는 일들이 잘 마무리되는 한 해가 되시길. 매수 매도 추천 글이 절대 아니며 필자의 포트폴리오 정리..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11월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11월 수익률 앞선 10월 수익률 글에서 언급하였듯이, 11월과 12월 수익률을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반기에 한 번 혹은 일 년에 한 번만 수익률 인증을 하려고 한다. 큰 정보가 되는 글도 아니기에 빈도를 줄여도 될 것 같다. 가뜩이나 바빠서 아무 글도 못 올리고 있는데 수익 글만 올리는 것은 너무 영양가가 없다. 그래도, 자산 배분 첫 해의 기록을 완성하기 위하여 수익률 글을 올린다. 끝나지 않는 인플레이션으로 환율로 적당히 버티고 있던 계좌 누적 수익률이 마이너스 전환 문턱까지 왔다. 마이너스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데, 초년생으로 너무 바쁜 회사에서 업무를 시작하다 보니 장 거래를 하거나 전략대로 매수 매도를 정확히 지키지 못하고 몇 일 밀려서 하는 등의 오류가 ..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9월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9월 수익률 앞으로 수익률 기록 글에서는 보유 종목의 비율은 어차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수익률 인증 및 월별 수익률을 그래프로 가시화하도록 하겠다. 해외 직투 계좌 : LAA + 올웨더 (50 : 50) 앞으로 남은 두 번의 금리 인상이 모두 75p 거나 50p와 75p 일 것으로 기정 사실화되었기 때문에, 주식과 채권 모두 큰 하락을 나타냈다. 수익률 자체는 현재 -10%이며, 환율 상승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2.21%의 수익률이 나타났다. 어차피 환율로 인해서 샤프지수가 높아진다면, 원화로 투자하는 이상 단순한 주식:현금 포트폴리오도 좋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깝던 먼 미래던 다시 상승하는 시기가 오면 현재의 자산 배분보다 주식 혹은 주식:현금 포트폴리오가..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8월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8월 수익률 블로그 관리 글에도 포스팅했지만, 개인적인 사정으로 본업에 집중하느라 신경을 많이 쓰지 못하였다. 수익률만 간단하게 올리고 분석글은 잘 모르는 만큼 짧게 작성하겠다. 해외 직투 계좌 : LAA + 올웨더 (50 : 50) 7월 수익률 포스팅에서는 4.87%로 글을 올렸었다. 수익률 계산을 정확히 7월 31일에 하여 생긴 문제 같은데 앞으로는 달이 끝난 후에 계산하여 새벽 동안 열려있는 해외 장 수익률을 반영하여 오차를 줄이겠다. 미미한 수익률의 증가가 있는데 실제로는 주식, 채권, 금, 원자재 등 모든 자산군이 감소하였으나 환율의 증가로 수익률이 방어되었다. ISA 계좌 : ODM + VAA + DAA + 올웨더 (10:10:30:50) 7월의 매수신호로 ..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7월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7월 수익률 두 번째 수익률 기록 글이다. 다들 7월의 상승장에서 많은 수익을 얻었을 것 같다. 주식만 투자한 포트폴리오의 경우 두 자릿수 대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앞선 글들에서도 정리하였지만, 자산배분의 목적은 수익률보다도 MDD 관리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6월의 하락장에서도 환율 쿠션 덕이긴 하지만, +의 수익률을 기록하였었고 7월의 상승장에서는 주식만큼은 아니지만 수익을 기록하였다. 경기 침체가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전략을 계속해서 진행하려고 한다. ISA 계좌의 경우 시드를 추가하여서 수익률이 약간 희석이 되어 조금 더 낮게 나왔다. 해외 직투 계좌 : LAA + 올웨더 (50 : 50) 그림 1~3. 해외 직투 S&P 500과 나스닥이 큰 상승을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