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MP/기본 통계

기본 통계 2. 기술통계 - 히스토그램

Notbee 2024. 2. 24. 18:02

기본 통계 2. 기술통계 - 히스토그램

 

지난 글에서 기술통계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한다고 설명하였었다. 이 중 가장 첫 번째로 수행하는 데이터 품질의 시각적 체크 시에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히스토그램 모양의 예시를 설명하며 기술통계 부분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각 히스토그램의 형태가 발생한 원인을 유추하여 적절한 대응과 해석이 필요하다.

기술통계 순서

1. 데이터 품질을 시각적으로 체크 (그래프를 눈으로 확인하기)
2. 정규성 검정
3. 기술통계 분석 수행

 

 

 

안정형 (Symmentric)

 

안정형

- 안정적으로 공정 및 측정이 완료된 경우

 

기울어짐 (Skewed)

 

기울어진형

- 대표값 선정에 주의 필요

 

쌍봉우리형 (Multimodal)

쌍봉우리형

- 각기 다른 두 개의 조건으로 공정이 수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 데이터를 Filter로 구분하여 나눠서 분석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절벽형

절벽형

- 특정 규격이나 조건에 따라 데이터가 걸러진 경우

 

이빠진형 or 낙도형

 

이빠진형, 낙도형

- 특정 범위의 수치가 관측되지 않는 측정 시스템 문제

- 공정에 특정 요인 발생으로 조건이 변경된 경우

 

https://notbee.tistory.com/69

 

기본 통계 0. 목차

0. 목차 1. Intro - 생명공학 전공자가 통계를 배워야 하는 이유 (https://notbee.tistory.com/67) - 통계적 사고와 문제해결 (https://notbee.tistory.com/68) 2. 기술통계 - 모집단과 표본 - 정규성 검정 - 대표값 - 산

notbee.tistory.com

글쓴이는 통계 전공자가 아니라는 점 참고 부탁드리며 관련하여 틀린 사항에 대한 지적이나 질문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