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통계 1. Intro - 통계적 사고와 문제해결
의약품을 제조하고 분석을 수행하는 모든 실험 과정은 프로세스로 볼 수 있다. 프로세스에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발생한다. 이때, 해당 정보를 관찰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논리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적절한 통계 분석 도구를 선택하고 결론을 내려야 한다.
정보는 항상 산포가 발생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얻어진 데이터는 우주에 존재하는 유일한 값이 아니라, 측정 오차와 제어가 불가능한 변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변동이 있는 것이다. 우리가 실험을 통하여 얻는 결과는 이미 정해져 있는 분포의 집단(모집단)으로부터 소수의 관측 데이터만을 얻게 되며, 정규 분포 값 안에서 어느 포인트에 있는 값을 얻게 되는지는 알 수가 없다.
정리하자면 개인적으로 통계적 사고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한다.
1.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관찰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2. 수집한 데이터는 산포가 있는 모집단의 일부분이며 데이터 역시 산포가 발생한다는 점을 이해한다.
3. 적합한 통계 분석을 통하여 해당 데이터로부터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다.
4.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프로세스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자료를 수집하고 합리적으로 해석하여 올바른 결론을 도출해 내는 과정인 것이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실험 설계와 결과 해석을 위해 꼭 필요한 사고 습관이다.
추가로, JMP를 개발한 John Sall의 회사인 SAS Institute에서 제공하는 무료 온라인 교육을 공유하고자 한다.
사이트 링크: 통계적 사고와 문제 해결 | JMP
링크를 통해 접속한 후, 회원가입하여 통계적 사고와 문제 해결에 관한 온라인 교육을 들을 수 있다.
교육은 다음과 같이 7가지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1. 통계적 사고방식 및 문제해결
2. 탐색적 데이터 분석
3. 품질관리 방법
4.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5. 상관 및 회귀
6. 실험계획법 (DOE)
7. 예측 모형 및 텍스트 마이닝
과정을 완료하는 데에 25 ~ 30 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데이터의 중요성, 통계적 방법의 중요성과 더불어 모든 프로세스는 연결되어 있고 산포가 있어서 이를 정량화할 방법인 통계적 사고를 배우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데이터 작업, 데이터를 준비하는 방법, 시간 경과에 따른 프로세스 변화, 가설 검증, 프로세스에 대한 판단, 회귀분석, DoE에 관해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영상 하단에 한글 자막을 켜서 들을 수 있다.
기본 통계 0. 목차
0. 목차 1. Intro - 생명공학 전공자가 통계를 배워야 하는 이유 - 통계적 사고와 문제해결 2. 기술통계 - 모집단과 표본 - 정규성 검정 - 대표값 - 산포 3. 추정 - 점 추정과 구간 추정 - 신뢰 구간 - 예
notbee.tistory.com
글쓴이는 통계 전공자가 아니라는 점 참고 부탁드리며 관련하여 틀린 사항에 대한 지적이나 질문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JMP > 기본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통계 2. 기술통계 - 대표값 (0) | 2024.02.22 |
---|---|
기본 통계 2. 기술통계 - 모집단과 표본 (0) | 2024.02.21 |
기본 통계 1. Intro - 생명공학 전공자가 통계를 배워야 하는 이유 (0) | 2024.02.20 |
기본 통계 0. 목차 (0) | 2024.02.20 |
변동 계수 (CV, Coefficient of Variation) 개념, 계산, 적용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