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6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3년 2분기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3년 2분기 수익률 투자 전략 해외 직투 계좌: LAA + All weather 포트폴리오 ISA, IRP, 연금저축펀드: S&P 500 지난 글에서 적었듯이, 기존 ISA 계좌에서 매수 매도가 잦은 DAA 운용은 중단하고, S&P 500으로 전환하였다. 수익률을 떠나서 프로그래밍을 통한 자동 매수 매도를 하지 않는 이상 전략을 제대로 지키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외에도, ISA 계좌의 경우 3년마다 해지 후 연금저축 계좌로 옮길 계획이기 때문에 연저펀에서 운용 중인 전략과 마찬가지로 100% S&P 500을 투자하는 게 맞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의도한 대로 LAA +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경우 좋은 방어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경기의 후행 지표인 실업률을..

카테고리 없음 2023.09.17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Zetasizer 분석 시 Tip / Troubleshooting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Zetasizer 분석 시 Tip / Troubleshooting DLS는 광원의 레이저가 샘플 속의 입자들에 의해 산란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입자들의 크기 분포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생명과학, 재교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며, 그중 DDS 측면에서 Nanoparticle을 측정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Nanoparticle 혹은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에 일정한 파장의 광입자를 쏘아 보내고, 산란되어 나오는 빛의 각도와 강도 등을 측정하여 입자의 운동 상태, 입자의 크기, 분산 등을 계산할 수 있다. 브라운 운동 등 자세한 원리는 다른 블로그 글 등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데이터 분석 시 개인적으로 팁이라 생각하..

연구/실험 2023.06.10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3년 1분기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3년 1분기 수익률 오랜만에 쓰는 수익률 글이다. 지난 글에서 말했듯이, 수익률을 월별로 정리하는 의미가 없어 보여서 분기와 반기를 고민하다가 분기 수익률을 앞으로도 남기기로 결정하였다. 애초에 일상생활에 집중하여 나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투자에 온 신경을 쓰는 것보다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것 같다. 현재, 직투 계좌와 ISA 계좌 외에 연금저축계좌와 IRP에는 S&P 500을 투자하고 있다. (IRP의 경우 70%까지) 따라서, 의도한 것보다 주식 비율이 높다. TDF 시리즈처럼 나이를 고려할 때 살아있는 채권인 스스로를 생각하면 주식 비율이 높은 것은 납득할 수 있다. 따로 글을 적겠지만, ISA 계좌의 경우 DAA와 올웨더를 같이 운용하던 기존 전략을 포기할 계획이다...

Transformation / Transduction / Transfection 차이

Transformation / Transduction / Transfection 차이 유전자 전달에는 전달 방식과 Host Cell의 종류에 따라 불리는 명칭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림과 함께 개념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Transformation : 외부 유전자가 Bacteria에 주입 되는 것 Transduction : 외부 유전자가 바이러스를 통해 전달 되는 것 (Host Cell이 중요한게 아님) Transfection : 외부 유전자가 Eukaryotic Cell에 주입 되는 것 (Viral Vector 아님) 이 외에 Bacteria 끼리 유전자를 주고받는 Conjucation, DNA 내부의 유전자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Transposition 등이 있다. 하지만, 유전자 전달 시스템..

연구/DDS 2023.04.08

변동 계수 (CV, Coefficient of Variation) 개념, 계산, 적용

변동 계수는 상대 표준 편차라고도 불리며, 표준 편차 (Standard Deviation)를 평균 (Average)으로 나눈 것이다. 더보기 변동 계수 = 표준 편차 / 평균 Excel에서 쉽게 구현 할 수 있다. 값 V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셀에 입력하면 변동 계수 %를 구할 수 있다. =Round(Stdev(V1 , V2, ... Vn)/Average(V1, V2, .... Vn)*100,0) Round : 자릿수 반올림 (필수 아니며 콤마 뒤에 값 조절하여 자릿수 조정 가능) Stdev : 표준 편차 Average : 평균 변동 계수는 같은 단위를 가지는 평균값으로 나누어주기 때문에, 서로 다른 단위를 갖는 값끼리 비교할 수 있다. 예시) 표준편차 (SD)와 그래프의 에러바를 보면, 그룹 A가 더 ..

JMP/기본 통계 2023.04.01

대학원, 꼭 가야 할까? - #3 취업을 할 거라면 (연봉)

대학원, 꼭 가야 할까? - #3 취업을 할 거라면 (연봉) 세 번째 글이다. 두 번째 글을 쓰고 꽤 긴 텀이 지났는데, 회사를 다니면서 느낀 부분들에 대한 글을 쓰고자 돌아왔다. 스스로 상상하는 대학원 졸업 이후의 모습은 저마다 다를 것이다. 하지만, 줄어가는 학교와 늘어가는 대학원생 숫자로 인해서, 교수가 되는 것은 알다시피 매우 소수이다. 나머지 졸업생들은 연구소, 회사 등 이 외의 다양한 곳에 둥지를 트게 되는 것이다. 그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회사(산업계)에 취업 시 대학원 진학이 미치는 영향들을 다뤄보고자 한다. 앞선 글들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맹목적으로 좋다 나쁘다 결론 내리려는 목적의 글이 아니다. 오히려, 이쪽 세계의 일부분만을 경험한 병아리인 내가 말하는 것이 편협할까 항상 걱정이 된다. ..

일상/대학원 2023.03.30

대학원, 꼭 가야 할까? - #2 지도교수의 인품

대학원, 꼭 가야 할까? - #2 지도교수의 인품 미래에 대한 고민이 새내기 때보다 깊어지는 학부 3~4학년, 무엇인지 정확히 알지는 못하면서도 다들 '연구'를 하고 싶다는 마음 하나로 대학원 연구실에 컨택을 시작한다. 어떤 동기로 대학원을 가기로 하였는지는 저마다 다를지라도, 어떤 연구실에 가고 싶어 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인터넷에 나오는 여러 글들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있다. 1. 연구 분야 및 주제 2. 교수의 연구 역량 3. 자대생 비율 4. 박사생 대 석사생 비율 5. 졸업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 6. 근무 시간 7. 교수의 인품 8. 인건비 9. Alumni 10. 기타 가장 좋은 것은 위 기준들을 포함하여 모든 것이 괜찮은 연구실에 가는 것이다. 하지만..

일상/대학원 2023.01.02

대학원, 꼭 가야 할까? - #1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대학원, 꼭 가야 할까? - #1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바이오 계열에 진학한 학부생은 늘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게 된다. 사회 현상으로 전체적인 대학원 진학이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생명공학과의 경우 추가적인 이유가 있다. 바로, 연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연구를 할 수 있는지 나 또한, 대학원 진학 전부터 졸업하고 회사를 다니고 있는 지금까지도 대학원에 온 게 맞았는지 고민하게 되곤 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가지 않는 길인 만큼 정보가 굉장히 부족하다. 많이 알고 판단한다고 무조건 옳은 결정을 하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보가 부족한 채로 인생의 큰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하게 되는 것은 겪어봐서 알지만 굉장히 불안하다. 이 시리즈는 같은 경험을 했던 한 사람으로써,..

일상/대학원 2023.01.01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12월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12월 수익률 2022년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수익률 인증 글이다. 이 글을 끝으로는 수익률 인증 글은 빈도를 줄여서 연말 결산 혹은 반기 결산 식으로만 글을 올리고자 한다.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전략을 잘 지켰고 경제 상황에 비해 나쁘지 않은 수익률로 견뎌서 만족한다. 물론, 환율이 다시 낮아지면서 11월과 12월을 기점으로 수익률은 마이너스가 되었다. 하지만, 20~30% 이상 떨어진 S&P 500, 나스닥, RPAR 등과 비교하면, 진입 타이밍 탓이 크지만 만족할 수 있는 결과로 생각하고 있다. 공부할 시간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지만, 꾸준하게 투자를 이어나가겠다. 하는 일들이 잘 마무리되는 한 해가 되시길. 매수 매도 추천 글이 절대 아니며 필자의 포트폴리오 정리..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11월 수익률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 2022년 11월 수익률 앞선 10월 수익률 글에서 언급하였듯이, 11월과 12월 수익률을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반기에 한 번 혹은 일 년에 한 번만 수익률 인증을 하려고 한다. 큰 정보가 되는 글도 아니기에 빈도를 줄여도 될 것 같다. 가뜩이나 바빠서 아무 글도 못 올리고 있는데 수익 글만 올리는 것은 너무 영양가가 없다. 그래도, 자산 배분 첫 해의 기록을 완성하기 위하여 수익률 글을 올린다. 끝나지 않는 인플레이션으로 환율로 적당히 버티고 있던 계좌 누적 수익률이 마이너스 전환 문턱까지 왔다. 마이너스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데, 초년생으로 너무 바쁜 회사에서 업무를 시작하다 보니 장 거래를 하거나 전략대로 매수 매도를 정확히 지키지 못하고 몇 일 밀려서 하는 등의 오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