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35

가치 투자 포트폴리오 - 22.05.26

각 종목별 계획 1. SCHD :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 배당성장 ETF이다. 미국의 국민 ETF이며 한국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다. 현재 가장 신뢰하고 있으며, 기존 10% 보유 예정보다 1차 목표인 시드머니 2억까지는 보유비율을 더 높게 가져갈 생각이다. 현시점 75$ 밑으로 내려갈 때마다 적극 매수하여 비율을 높일 예정이다. => 현재 : 22.8% / 목표 : 28% 2. O : Realty Income => 리츠 대장주이다. 65$ 정도의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는 가격에 매수하였다. VOO를 매달 살 수 있는 수준의 배당을 위해서는 리츠가 필수이기 때문에 보유 비율을 당분간은 이 정도로 유지하려고 한다. => 현재 : 14.1% / 목표 : 15% 3. AAP..

가치 투자 포트폴리오 규칙 - 22.05.26

현시점에서 내 포트폴리오의 기본 틀이자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정리해두고자 한다. 1. 미국 주식 위주로 투자한다. => 한국 주식시장은 우상향 하는 모습이 잘 안 보이고, 배당과 주주환원에 대한 개념이 희박한 투기장 느낌이다. 2. 세후 근로소득의 40%는 투자 / 20% 현금 보유 / 40% 소비 비율 유지 => 현금은 인생의 변수 및 주식 투자의 기회 때 사용한다. 3. 포트폴리오의 기본 골격은 ETF로 잡는다. => 분산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된 ETF를 기본 틀로 잡을 예정이다. => SCHD, VOO, QQQM, XLV, NOBL 4. 개별 종목은 ETF보다 적게 보유한다. => 개별종목은 적절한 수수료와 구성종목을 가진 ETF가 없거나 확신이 있는 잘 아는 종목들만 매수한다..

나의 투자 이유 #3 (부자아빠)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세 번째 글이다. 로버트 기요사키는 주식보다는 부동산으로 부를 축적한 사람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부자가 되는 방법이란 무엇인지 여러 부자들과 일맥상통하는 부분들이 있다. 로버트 기요사키는 열심히 일하여서 대출을 끼고 집을 사는 것을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하는 많은 실수임을 알려준다. 이 부분을 읽고 나면 이렇게 반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번에 서울 집값이 얼마나 올랐는데! 맞는 말이다. 만약에 본인은 주거 가능한 다른 집이 있고 기회를 잡아 좋은 수익을 냈다면 축하할 일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내용은 실제로 자신이 살 집을 재산의 대부분과 대출을 껴서 구매 한 뒤 남은 일생의 대부분을 이자를 갚는 데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그렇게 인생을 보내고 난 후에 잘해봤자 집 ..

나의 투자 이유 #2 (복리와 시간)

Cash is King Trash 초저금리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돈을 주머니에 가지고만 있어도, 은행에 맡겨도 매 순간 돈을 잃게 된다. 물가상승률이 금리보다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님 세대와 다르게 예적금으로는 소비를 억제함으로써 돈이 모일 순 있지만, 그 자체가 수익이 되지는 않는다. 금리를 2%로 잡고 기댓값을 계산해보면 30년이 지나도 원금이 두배가 되지 않는다. 이처럼 복리를 적용하여도 수익률이 낮으면 긴 세월을 이용하여도 이익이 높지 않다. 하지만, 2%가 7%가 된다면 어떨까? 표에서 보듯이 30년 보유 시 원금이 7.6배로 증가한다. 이 수익률이 7%가 아니라 워런 버핏처럼 20%라면 237배가 되게 된다. 이처럼, 대부분 알고 있듯이 복리의 힘은 대단하다. 두께가 얇은 A4 용..

나의 투자 이유 #1 (경제적 자유)

우리는 언제까지 일하며 살아야 할까? 일이 물론 재밌어서 평생 하고 싶은 일이고 이러한 생각이 별로 고민처럼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너무 잘 맞는 일이여도 경제적 자유를 가지고 선택적으로 일하는 것과 하고 싶지 않아도 일을 하는 것은 분명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투자에 관심이 많은 요즘, 누구나 하는 당연한 소리이다. 나 혹은 내 가족이 아플 때, 직장에서 해고를 당해도 근로소득 외에 주어지는 자본소득이 충분하다면 상대적으로 걱정을 덜 할 것이고 직접 간호하거나 다른 일을 하는 등의 선택을 할 때에도 시간적, 정신적 여유의 폭이 넓어진다. 나는 현재 30대의 나이에 대학원을 다니고 있다. 투자에 관한 생각들을 일찍부터 하지는 못하였다. 하는 일과 연구가 재밌고 어느 정도 열심히 했으니 적당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