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S&P500을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2 연금 수령
지난 글에서 다룬 내용 중, S&P500에 올인하여 투자하는 방식이 수익률은 높지만 생각보다 높은 MDD로 인해서 장기투자의 어려움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오늘은 이와 같은 내용에도 불구하고 S&P500을 투자할만한 이유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한다.
SPY와 QQQ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는? #1 최대 낙폭 (MDD)
많은 사람들이 복리 수익으로 부자가 되길 기대하며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 VOO, IVV 그리고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QQQ와 QQQM에 적립식 투자를 한다. 나 역시 포트폴리오 상 20%가량을 VOO와 QQQ
notbee.tistory.com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우상향을 그리는 S&P500 지수 추종을 하는 투자자는 보다 장기적인 투자 관점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아마도, 일반적인 미국 지수 추종 투자자라면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를 것이라 생각한다.
S&P500에 투자하게 되는 흐름
1. 개별주 투자의 위험성을 알게 된다.
2. 복리의 위대함을 깨닫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S&P500 ETF에 투자한다.
3. 세금을 아끼기 위하여 ISA나 연금저축계좌 같은 절세 계좌를 활용한다.
4. 일시 수령 대신 연금으로 수령하여 절세한다.
기존에는 높은 MDD로 인하여, 은퇴 시점에 사용하게 될 돈이 반토막 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S&P500 투자가 위험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절세 및 생활비 목적이기 때문에 일시 수령보다 연금 수령을 하게 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만약, 연금 수령을 시작하였을 때부터 폭락장이 시작되면 어떻게 될까?? 시뮬레이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목 금액과 수익률이 아닌, 인플레이션이 적용된 구매력을 기준으로 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조건]
1. 현재 나이: 30세
2. 은퇴 시점: 60세
3. 포트폴리오: S&P500 100%
4. 투자전략: 매년 원화 900만 원씩
5. 인플레이션: 3%
6. 60세까지 가상의 투자 성과: 명목 수익률 5% (인플레이션 감안 시 2%)
7. 60 세 ~ 100세까지 가상의 투자 수익률: 역사적 VOO 수익률 적용
8. 은퇴 직후 3년간 전체 자산 38% 감소
9. 은퇴 시점부터 매년 구매력 기준 년 1800만 원씩 인출 (월 150만 원)
해당 조건으로 가상의 시뮬레이션을 돌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금저축계좌와 IRP에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금액인 900만 원은 많은 직장인들이 채우려고 노력하기에 위와 같은 투자 금액으로 설정하였다. 위와 같이, 3년간 38%의 자산이 감소하고 시작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도 하위 25%의 성과를 나타내지 않는 이상 월 150만 원의 구매력을 인출하여도 자산이 꾸준히 우상향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60세 은퇴시점까지의 수익률은 실제 VOO 성과보다 낮은 명목 수익률 5%만을 적용하였는데도, 이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자산이 폭락하여도 일시 수령이 아닌 일정 금액씩만 수령한다면 폭락 후 찾아오는 상승기를 맞아 돈을 사용하면서도 자산을 계속하여 불려 나갈 수 있다. 물론, 은퇴 후 폭락이 찾아온다면 일시적으로 연금 수령을 하지 않고 다른 현금 흐름을 찾는 등 조절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은퇴 자금을 운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각자의 목표와 상황에 따라 어떤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아래의 사이트에서 직접 계산해 보길 추천한다.
백테스트 이용한 사이트 : 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
-> Financial Goal 모드
그럼에도 S&P500을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1 원화 투자
그럼에도 S&P500을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1 원화 투자 1년 반 전쯤, 주식 투자를 시작하면서 S&P500과 나스닥에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라는 글을 썼었다. 그 당시에도 서두에 언급하
notbee.tistory.com
자산 배분을 해야 하는 이유 - 1. 높은 MDD의 위험성
자산 배분을 해야 하는 이유 - 1. 높은 MDD의 위험성 불로소득의 달콤함 만큼 불로 지출의 고통은 크다 지금까지 3달 정도 내가 한 투자들을 돌이켜보면, 나는 기업에 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돈
notbee.tistory.com
매수 매도 추천 글이 절대 아니며 필자의 포트폴리오 정리 및 계획 글입니다.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하지 말고 본인의 생각대로 투자해야 후회가 덜 남습니다.
'투자 > 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럼에도 S&P500을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3 근로 소득 (0) | 2024.02.23 |
---|---|
그럼에도 S&P500을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1 원화 투자 (1) | 2024.02.04 |
Buffett Indicator - Current Market Valuation Model (버핏 지수) (1) | 2023.11.29 |
Fear and Greed Index - 피어 앤 그리드 (CNN 지표) (1) | 2023.11.13 |
동적 자산 배분의 치명적인 단점 - #2 과최적화 (0)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