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S&P500을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1 원화 투자
1년 반 전쯤, 주식 투자를 시작하면서 S&P500과 나스닥에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라는 글을 썼었다. 그 당시에도 서두에 언급하였지만, 투자하기 전에 투자하지 않을 이유를 찾음으로써 투자의 정당성을 돌아보기 위한 글이었다. 예나 지금이나 금융 지식이 부족한 것은 매한가지지만, 약 2년간의 시간 동안 직접 자산 배분 투자하고, 개별주 투자 대비 저축할 수 있던 시간을 공부에 활용해 가며 조금씩 성장하였다. 당시 작성한 글들을 다시 읽어보니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부분들도 새삼 보이고 부족한 지식이 드러나는 것 같아 부끄럽다.
작성할 글은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S&P500에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에 관해서다. 기존에 작성한 글을 반박하는 내용일 수도 있고, 세간에 알려진 지수 추종 투자와 관련된 내용을 팩트 체크해보는 내용을 담을 수도 있다. 오늘은 한국에서 투자하는 모두에게 적용될 항목인 원화 투자와 관련된 내용이다.
S&P500이나 나스닥 같은 미국 지수 추종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1. 국내 일반 계좌 개설 후 VOO, QQQM 등을 매수
2. ISA, 연금저축계좌 등의 절세계좌에서 KODEX 미국 S&P500 같은 국내 상장 해외 ETF를 매수
1번 방법과 2번 방법은 세금 혜택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지만, 결과적으로 원화를 소비해야 하는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별반 다를 게 없다. 1번을 통해서 수익 실현 후 받은 달러는 한국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결국 환전 해야 하고, 2번 방법은 이미 환율이 반영되어 있다 (환노출 상품 기준이며, 장기 투자 시 환헷지 상품은 비용 등으로 인해서 고려하지 않으므로 비교 시 제외한다). 따라서, 주가가 올라서 수익이 발생하였어도 원달러 환율이 떨어져서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수익률이 떨어지게 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주가가 하락하여도 환율이 높아져서 달러 가치가 원화 대비 높게 유지되고 있다면 손해가 어느 정도 만회가 되며 이러한 현상을 환쿠션이라고도 한다.
2022년부터 시작된 미국 긴축에 따른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 연준 금리 인상 -> 유동성 하락 -> 주가 하락
미 연준 금리 인상 -> 달러 가치 상승 -> 원화 대비 달러 환율 상승
같은 원인으로 인해 발생했지만 주가 하락과 환율 상승이 상쇄되어 한국인 투자자들은 미국인 투자자에 비하여 7~13% 가량 손해를 덜 보았다. 이러한 이유를 들어 원화 투자가 MDD가 더 낮기 때문에 자산 배분 없이 지수 추종 100% 투자를 해도 된다는 주장을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도 그러하였는지 확인해 보았다.
[통화별 S&P500 투자 시 MDD]
달러 : -56.78% *
원화 : -50.74%
*포트폴리오 비쥬얼라이저에서 계산 시 50.80%로 나타난다. 데이터 소스에 따른 차이로 보인다. 여기서는 달러와 원화를 비교한 부분만 참고 바란다.
1998년대부터 2024년 2월까지의 기간 중, 원화의 경우 달러보다 MDD가 약 6퍼센트 낮았다. 하지만, 최대 낙폭 외에 -20 ~ -30%가량의 낙폭 발생 시, 항상 원화가 유리했다고 볼 수는 없다. 주가 하락과 환율 변동의 원인에 따라서 2004 ~ 2008년도의 시기처럼 디커플링 되는 기간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화로 투자 하락기에 더 안전하다는 내용은 일부 사실이면서도, 금번 미국의 금리 인상기에 환쿠션이 작동하였기 때문에 나온 최근 편향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가계 부채 등 다양한 원인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을 우리나라가 따라갈 수 없고, 금리 인상 시 유동성 감소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개인의 생각에 따라서 미국 S&P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 시 발생할 수 있는 하락폭을 더 낙관할 수 있는 근거로 삼을 수도 있을 것이다. 기회가 된다면 샤프지수를 통해 해당 내용을 다시 다뤄보겠다.
[S&P500과 나스닥에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는?]
SPY와 QQQ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는? #1 최대 낙폭 (MDD)
많은 사람들이 복리 수익으로 부자가 되길 기대하며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 VOO, IVV 그리고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QQQ와 QQQM에 적립식 투자를 한다. 나 역시 포트폴리오 상 20%가량을 VOO와 QQQ
notbee.tistory.com
SPY와 QQQ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는? #2 거치식과의 차이점
SPY와 QQQ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는? #2 거치식과의 차이점 https://notbee.tistory.com/16 SPY와 QQQ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는? #1 최대 낙폭 (MDD) 많은 사람들이 복리 수익으로 부자가 되길 기
notbee.tistory.com
SPY와 QQQ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는? #3 높은 PER
SPY와 QQQ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는? #3 높은 PER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는 SPY와 QQQ 적립식 투자는 워렌 버핏의 남겨질 아내에 대한 유언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물론 기술주 투자에 관심이
notbee.tistory.com
SPY와 QQQ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는? #4 경제 패권국의 변화
SPY와 QQQ 적립식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는? #4 경제 패권국의 변화 이 시리즈는 SPY와 QQQ에 투자하는 것이 잘못된 방법이기에 하는 것이 아니라 전편에서 언급했듯이, 투자의 대가들처럼 투자하기
notbee.tistory.com
매수 매도 추천 글이 절대 아니며 필자의 포트폴리오 정리 및 계획 글입니다.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하지 말고 본인의 생각대로 투자해야 후회가 덜 남습니다.
'투자 > 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럼에도 S&P500을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3 근로 소득 (0) | 2024.02.23 |
---|---|
그럼에도 S&P500을 적립식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2 연금 수령 (0) | 2024.02.04 |
Buffett Indicator - Current Market Valuation Model (버핏 지수) (1) | 2023.11.29 |
Fear and Greed Index - 피어 앤 그리드 (CNN 지표) (1) | 2023.11.13 |
동적 자산 배분의 치명적인 단점 - #2 과최적화 (0) | 2022.06.30 |